한국 국가청렴도 상승원인과 목표, 다른나라 순위
본문 바로가기

이것저것/정보

한국 국가청렴도 상승원인과 목표, 다른나라 순위

728x90
반응형

한국 국가청렴도 상승원인과 목표, 다른나라 순위

한국의 국가 청렴도가 100점 만점에 61점으로 측정돼 세계 33위를 기록했습니다. 2017년 51위까지 떨어졌던 청렴도 순위는 3년 만에 18단계 상승했습니다.

 

  • 한국의 CPI순위 변화
  1. 2016년 : 52위 (53점)
  2. 2017년 : 51위 (54점)
  3. 2018년 : 45위 (57점)
  4. 2019년 : 39위 (59점)
  5. 2020년 : 33위 (61점)
  • 다른 나라 순위
  1. 공동 1위 : 덴마크, 뉴질랜드(88점)
  2. 공동 3위 : 핀란드, 싱가포르, 스웨덴, 스위스(85점)
  3. 11위 : 홍콩 (77점)
  4. 19위 : 일본 (74점)
  5. 170위 : 북한, 콩고 민주공화국, 아이티(18점)
  6. 178위 : 시리아(14점)
  7. 공동 179위 : 소말리아,남수단
  • 국가청렴도 기준
  1. 공공부문 부패에 대한 전문가의 인식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지표다
  2. 70점대는 사회가 전반적으로 투명한 상태
  3. 50점대는 절대 부패로부터 벗어난 정도로 평가

 

  • 한국이 4년 연속 국가청렴도 상승한 이유
  1. 사익을 목적으로 한 공무원의 지위 남용을 막을 수 있는지 보는 지속가능지수 개선
  2. 정치부패를 보는 국가위험지수 개선
  3. 부패 및 뇌물 범죄를 평가하는 국제경쟁력 지수 개선
  4. 촛불운동 이후 정부와 사회 전반이 노력한 결과
  5. 코로나 19의 K방역 성과
  6. 고위공직자 범죄 수사처 설립
  7. 청탁 금지법 정착
  8. 제19차 국제 반부패 회의(IACC) 성공적 개최
  9. 공수처 설립
  10. 이외에 반부패 법. 제도 기반 강화 등 반부패 개혁 노력이 긍정적인 영향
  • 한국의 목표

2022년까지 세계 20위권 청렴 선진국 진입

 

  •  
728x90
728x90